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거슨세미오름-안돌오름-밧돌오름 (2021. 12. 12) 선흘에 있는 형제오름 알밤오름과 웃밤오름 탐방을 마치고, 이번에는 송당에 있는 형제오름 안돌오름과 밧돌오름을 탐방하려고 거슨세미오름 주차장에 차를 세운다. 안돌오름 앞에도 넓은 주차장이 있지만, 숲이 아름다운 거슨세미오름을 외면할 수 없어서 먼저 거슨세미오름을 오르기로 한다. 거슨세미오름 초입이 참 좋다. 가다가 옆으로 잠깐 나오면 이런 멋진 초지가 나온다. 이런 곳에서는 어김없이 사진을 찍고 있는 젊은 관광객들을 보게 된다. 초반에는 이런 평평한 명품 숲길이 이어지고, 우틀하면 정상으로 가는 길이 나오게 된다. 완만한 경사의 오르막을 오르다 보면 체오름과 안돌오름이 보이게 되고, 안돌오름 앞에는 제주의 핫플, 비밀의 숲이 위치하고 있다. 계속되는 완만한 오르막. 거친오름, 체오름, 안돌오름. 부소오름과.. 더보기
알밤오름, 웃밤오름 (2021. 12. 12) 선흘리 남쪽에 위치한 알밤오름은 웃밤오름과 한 세트로 다녀오면 좋은 오름으로, 이번이 두 번째다. 알밤오름은 오르기가 만만치않은 오름이다. 비고는 154m인데, 체감상으로는 다랑쉬오름 오르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진다. 탐방로가 전혀 조성되어 있지 않아 오르기에 매우 불편하다. 특히 미끄로운 곳이 많아 가벼운 맘으로 대충 올랐다가는 큰 코 다칠 수 있는 오름이다. 표시판만을 보면 잘 관리되고 있는 오름처럼 보이나 전혀 그렇지가 않다. 이 지점이 문제다. 사진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경사가 급하다. 줄도 없고 미끄러워서 오르기도 불편하지만, 내려올 적에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여길 올라서면, 평지가 나온다. 여기가 정상이면 좋으련만 잠깐 내리막이 나오다가 다시 급경사의 오르막이 제법 길게 이어진다. 내려설 때 .. 더보기
손지오름-하도공동목장-동검은오름 (2021. 12. 05) 작년 12월에 손지오름을 처음으로 다녀왔었는데.... 그때 손지오름 정상에서 넋을 잃고 동검은이오름을 바라 보았었다. 두 오름 사이에 있던 드넓은 목초지에 심쿵했기 때문이다. 그 곳이 바로 하도공동목장임을, 그리고 손지오름에서 내려서면 그 목장을 거쳐 동검은이로 갈 수 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고, 꼭 한번 그 길을 걸어보리라 다짐했었는데... 화창한 겨울날에, 손지오름이 처음인 아내를 이끌고 그 다짐을 실천하러 다시 손지오름을 찾았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손지오름은 들머리를 잘 찾아야 한다. 왜냐면 오름표지석이 들머리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곳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오름표지석 근처에서 손지오름 오르려고 하면 초반에 에너지를 낭비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사진에 보이는 곳으로 와야 한다. 들어서면 오름관.. 더보기
민오름-큰지그리오름-거친오름-절물오름 (2021. 12. 04) 봉개 민오름에서 큰지그리오름을 거쳐 절물휴양림 쪽으로 오는 길이 궁금했다. 거친오름은 분명 다녀온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미답지 오름이였다. 그래서 오늘 일정은 '민오름-큰지그리오름-거친오름-절물오름'으로 짜 보았다. 10시 50분, 봉개 민오름 입구에 차를 주차한다. 이 지점에서 직진해도 민오름 정상에 오를 수 있지만, 난 여기서 좌틀한다. 봉개 민오름에서는 봉우리가 2개 있다. 이 2개를 다 오르고 큰지그리오름 쪽으로 하산하려면 이곳에서 좌틀하는 것이 좋다. 좌틀하면 요런 길을 걷게 되고, 조금 더 오르면 민오름 습지 또는 민오름 정상으로 갈 수 있는 갈래길이 나온다. 난 정상을 가야하니 우틀한다. 능선에 올라서면 먼저 오늘 가야할 큰지그리오름이 한눈에 들어오는 시원한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 더보기
한대오름, 노로오름 (2021. 11. 27) 오전에 집 대청소를 하고, 오후에 아내랑 한대오름과 노로오름을 다녀오기로 한다. 1100고지와 영실 입구 사이에 있는 18임반입구에 주차를 하고, 1.6km 걸어오면 보림농장 사거리가 나온다. 이곳에서 한대오름을 가려면 직진해야 한다. 직진해서 오다보면 이런 풍경을 만나게 되고, 조금 더 가면 한라산둘레길과 표고재배장 분기점이 나오게 된다. 이 지점에서 표고재배장 쪽으로 좌틀해야 한대오름으로 갈 수 있다. 건축물이 나오고, 표고재배지가 보인다. 그리고 요런 철문이 나타난다. 철물을 열고 나가서 다시 철물을 닫고, 조금 걸어가면... 이렇게 콘크리트 포장도로가 나온다. 계속 가다보면 다시 삼거리가 나온다. 이 지점에서 좌틀하면 한대오름으로 갈 수 있다. 한대오름을 탐방하고 다시 이 삼거리로 나와 우측으로 .. 더보기
진안 구봉산 (130대명산 101좌, 2021. 11. 15) 진안 구봉산은 금낭정맥의 최고봉인 운장산(1,126m)과 진안의 자랑 마이산(686m)의 명성에 가려 산꾼들이외에는 찾는 이가 별로 없던 산이였다. 그러다가 2015년, 구봉산 명물 구름다리가 설치되어 등산객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새롭게 주목받은 산이다. 운장산과 마이산은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이고, 구봉산은 블랙야크 지정 100대 명산이다. 구봉산은 대중교통편도 비교적 좋은 편이다. 진안터미널에서 들머리인 구봉산 주차장 가는 버스가 8시, 11시 30분에 있다. 주차장까지 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25분 정도, 산행 시간은 대략 5시간 정도. 따라서 8시 버스를 타면 13시 48분, 11시 30분 버스를 타면 17시 18분에 구봉산 주차장에서 진안터미널 가는 버스를 충분히 탈 수 있어서 대중교통으로 구봉.. 더보기
진안의 명산, 마이산 (2021. 11. 14) 마이산은 두 번째다. 진안 구봉산 그리고 백암산-내장산 연계산행이 최초 계획이였는데, 출발하는 날 광주공항에 안개가 껴서 7시 25분 비행기가 8시 55분으로 딜레이되는 바람에 부득불 일정을 변경할 수 밖에 없었다. 진안터미널에서 11시 30분에 출발하는 버스를 타야만 첫째날 구봉산 산행이 가능한데, 13시 25분경에 진안터미널에 도착되니 구봉산이 물건너 가버린다. 이번 산행에 포인트는 구봉산인지라, 구봉산 산행을 다음 날로 미루고, 백암산-내장산 연계산행은 포기하는 차선책을 택한다. 그럼 오늘은 뭘하지? 마이산을 가면 되지. 진안터미널에서 가깝고, 산행 시간도 짧고, 때마침 14시 20분에 마이산 가는 버스도 있어서 가능한 선택이였다. 버스 시간이 제법 많이 남아 느긋하게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한다. *.. 더보기
덕유산 육구종주 (130대명산 100좌, 2021. 10. 31) 친구의 새 핸드백을 보면 갑자기 핸드백이 사고 싶어지는 미쓰리의 심정이였을까. 평소 애독하던 블로그 주인장이 육구종주 다녀온 것을 읽고나니, 갑자기 나도 하고 싶다는 맘이 솟구치기 시작했다. 함 살펴나 보자, 제주에서 육십령까지 어찌 가는 지를... 비행기편은 광주공항, 그리고 광주유스퀘어터미널에서 17시 버스를 타고 장계터미널에 내리면 되겠다. 장계에서 1박하고, 새벽 3시-4시 사이 장계터미널에서 택시로 육십령까지 가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근데, 택시를 수배해보니 그 새벽에는 운행을 할 수 없단다. 빨라야 6시-7시 정도에야 가능하다고.. 늦어도 새벽 4시에는 산행을 시작하지 않으면 종주산행이 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육구종주가 물건너 가는 듯했으나, 마지막에 전화를 받은 여자 기사분에게서 가.. 더보기